음양의 소장 평형이란 음과 양이 끊임없이 소장 변화하여 이루는 상대적 평형을 말합니다. 처음에는 소장은 소식이라 하였고, 해가 중천에 뜨면 기울기 마련이고 달도 차면 기우니, 천지의 치고 빔은 시간에 따라 소장한다고 하였습니다. 또한 서한 시기 매승의 칠발에서 소식 음양이라 한 것이 그 증거입니다. 여기서 소는 사라지거나 감퇴함을 뜻하고 식은 번식과 생증 즉 번성함을 뜻합니다. 즉 소장은 사물의 성쇠 변화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음양소장이란 음양의 성쇠 변화를 뜻합니다. 음양소장에는 음양 자체의 음양 간의 소장이 포함되고, 음양은 음이나 양 자체 또는 음양 사이의 성쇠 변화로써 상대적 평형을 유지합니다.
황제내경에서 음양소장이란 표현이 없지만, 음양소장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적지 않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 내용은 다음 세 가지로 귀납됩니다.
1. 음양의 분포는 균일하지 않다. 음양의 기는 각각 많고 적음이 있으므로 삼음 삼양이라 한다.
2. 인체의 음양 변화는 자연계의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 예컨대 자연계의 기후변화에서 추위와 더위는 교체되어 서로 바뀌고, 음기와 양기는 많고 적음이 있다고 하였고, 사시 음양은 만물을 생성하는 근원이니 옛 성인들은 봄과 여름에는 양을 보양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음을 보양하여 근본적인 자연 규율에 순응하였다.
3. 정상적인 생리 상황에서 인체의 음양은 음평양비의 상대적인 평형 상태를 유지하지만, 만약 어떤 원인으로 인해 음이나 양 중에서 어느 한쪽이 지나치게 우월해지면 음양의 음양소장이 깨져 여러 가지 병리 상태가 나타난다.
음양의 소장 운동은 절대적, 항구적인 것으로서 음양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결과이다. 소장운동의 기본 형식을 대체로 다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음이나 양 어느 한쪽의 소장이다. 예를 들면 인체의 양기는 낮에는 외부를 주관하는데 하루 중 새벽에는 양기가 막 생겨나고, 낮이 되면 양기가 왕성해지며, 해가 서쪽으로 기울 무렵에는 점차 쇠약해지며 땀구멍도 이를 따라 닫히게 된다고 하였다. 이를 양기 자체의 소장을 가리킨다.
2. 음양 상호 간의 소장이다. 즉 양이 생장하면 음은 소멸하기 시작하고, 음이 발생하여 자라면 양은 소멸하게 된다. 이렇듯 한쪽이 소멸하면 다른 한쪽이 생겨나고, 한쪽이 생겨나면 다른 한쪽이 소멸하는 것은 음양의 상호제약 작용이다.
3. 음양의 소장 중 호장 위주의 운동 상태를 가리킨다. 양은 만물의 발생을 주관하는 에너지이고, 음은 만물의 성장과 결실을 주관하는 물질이므로 양생 음장이라 한다. 출생에서 정상까지의 단계, 즉 양생 음장을 위주로 한 음양소장 상태를 가리킨다.
4. 음양의 소장 중에서 호소 위주의 운동 상태를 가리킨다. 즉 양실 음장이라 한 것이다. 인체에 있어서는 장성에서 노쇠하여 죽음에 이르는 단계, 즉 양실 음장을 위주로 한 음양소장의 상태를 가리킨다.
음양은 이처럼 끊임없이 소장함으로써 상대적인 평형 상태를 유지하며, 정상적으로 발전 변화합니다. 사계절의 기후 변화를 예로 들면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가을이 가면 겨울이 옴으로서 추위와 더위가 바뀌는데, 이것이 바로 음양소장의 과정입니다. 겨울에서 봄과 여름에 이르기까지 한기는 점차 감소하는 반면 열기는 계속 증가하므로 이를 따라 기후가 변하여 봄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덥습니다. 또한 여름부터 가을과 겨울에 이르기까지는 열기가 점차 사라지고 한기는 증가하므로 가을에는 서늘하고 겨울에는 추워지는데, 이것이 바로 음양소장의 과정입니다. 이러한 정상적인 음양의 소장은 사계절의 기후 변화에도 나타납니다. 천지 음양의 소장변화로부터 한열온량의 기후 변화가 생기고, 이로부터 생물이 생, 장, 화, 수, 장 하게 하는 주기적 변화가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하늘에는 무형의 정기가 있고 땅에는 유형의 물체가 있으며, 하늘에는 팔기가 있고 땅에는 오리의 구분이 있으니 천지는 만물의 부모라고 하였고, 맑은 양기는 하늘로 상승하고 탁한 음기는 땅으로 하강하며, 천지의 운동과 정지는 모두 음양의 오묘한 지배를 받기 때문에 자연계 만물의 생, 장, 화, 수, 장이 끊임없이 반복하고 순환되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이것은 하늘에는 무형의 정미로운 기가 있고, 땅에는 유형의 무겁고 탁한 형체가 있는데, 하늘에는 사립, 이분, 이지가 있어서 여덟 절기로 나뉘고 땅에는 천지 음양의 소장 운동에 의해 1년 중의 24절기가 형성되며 이처럼 소장, 변화함으로써 만물이 생, 장, 화, 수, 장함을 뜻합니다.
인체 생리 활동의 평형도 역시 음양의 소장 과정입니다. 예컨대 기기의 승강 출입의 경우 승과 출은 양에 속하고 강과 입은 음에 속합니다. 이들은 소장의 관계로서 상대적인 평형 상태가 유지됩니다. 인체의 물질과 기능을 상대적으로 말하면 물질은 음에 속하고 기능은 양에 속합니다. 기능이 극렬해지면 물질이 과도하게 에너지로 변해 소모되는데, 이것이 양장 음소의 표현입니다. 물질이 화생하려면 반드시 일정한 에너지가 소모되는데, 이것이 바로 음장양소입니다. 인체의 생명은 음양의 소장 운동으로 상대적 평형을 유지합니다. 음양설은 인체의 정상적인 생리 활동을 음평양비, 음양 균형이라는 기본 개념으로 개괄하였습니다. 만약 어떤 요인으로 인하여 인체의 음양소장이 균형을 잃으면 상대적인 평형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음양의 어느 한쪽이 지나치게 성하거나 쇠하여 질병이 발생합니다.
팔절 : 입춘, 입하, 입추, 입동, 춘분, 추분, 하지, 동지를 말한다.
오방 : 동, 서, 남, 북, 중앙을 말한다.
기기: 일반적으로 기의 기능을 뜻하며, 예컨대 임상에서 담열이 폐를 가로막아 폐의 기기가 원활하지 못하면 천역이 발생한다.
'한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생리 기능과 병리 변화에 대해 (0) | 2023.04.22 |
---|---|
음양의 상호전화 및 음양의 응용 (0) | 2023.04.19 |
음과 양은 서로의 근본이 되고 쓰임이 된다 (0) | 2023.04.08 |
기본개념(2) 및 음양제약 (0) | 2023.04.02 |
음양오행(2) 및 기본개념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