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

오행 사이의 상승·상모·승복 오행 사이의 상승과 상모를 목·화·토·금·수 사이의 비정상적인 상극으로서 오행 사이의 협조 평형이 파괴되는 비정상적인 현상을 말합니다. 한의학에서는 항상 오행 사이의 상승과 상모로써 질병의 병리 현상을 설명합니다. 승복이란 운기 학설의 승기와 복기에서 나온 것으로서, 목·화·토·금·수 오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운기가 지나치게 성하여 해되고, 비정상적인 기후가 나타난 후에 복기에 의해 억제당하는 인과관계를 가리킵니다. 1. 오행 사이의 상승 승은 깔보다 허를 틈타 침범한다는 뜻이고, 상승이란 제약이 과도하여 정상적인 제약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상극은 정상적인 생리 활동이고, 상극의 정도가 지나친 것은 병리 현상인데 이것이 곧 상승입니다. 이는 사물 간의 관계가 정상적인 협조·조화를.. 2023. 5. 14.
오행의 특성 오행의 속성은 목·화·토·금·수 다섯 가지의 물질의 자연 현상 및 그 성질에 대한 직관적이고 추상적인 인식에서 비롯되었습니다. (1) 목의 속성 상서·홍범에서는 목의 속성을 목왈곡직이라 하였습니다. 곡은 굽어서 휜다는 뜻이고, 직은 곧다는 뜻입니다. 곡직은 수목의 생장 형태에서 나타나는 특징인 가지는 굽고 줄기는 곧다는 데서 나왔습니다. 후에는 나무가 위를 향하여 곧게 성장하고 사방으로 자라며 나뭇잎이 무성해지는 등의 현상으로부터 한층 더 추상화하여 생장·발전 등의 특성으로 확대하여 해석되었습니다. 이 밖에 상서본의의 소증에서는 목은 휘거나 똑바로 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습니다. 그러나 한의학에서는 목의 속성을 운용하여 연역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발생·생장·승발을 목의 주요한 속성으로 삼습니다. (2) 화.. 2023. 5. 7.
오행 오행 학설은 목, 화, 토, 금, 수 다섯 가지의 속성과 작용을 말합니다. 예컨대 상서 정의에서 오란 각각의 재간(기능)을 말합니다. 행은 하늘에서의 오기의 흐름이고, 땅에서는 세간의 쓰임이 되는 것이라 하였습니다. 오행 학설은 목·화·토·금·수 다섯 가지 물질의 속성 및 그 상생 · 상극 규율로써 자연을 인식하고 자연환경을 해석하며 자연 규율을 탐구하는 일종의 우주관이자 방법론입니다. 오행의 기본 관점은 우주를 목·화·토·금·수 다섯 가지 기본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우주의 모든 사물은 목·화·토·금·수 다섯 가지 기본 요소가 서로 섞이고 화합하여 화생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오행 사이에 존재하는 상생과 상극 규율은 우주의 각종 사물에 일반적으로 미치는 기본 법칙입니다. 오행의 기원에 관해.. 2023. 5. 7.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에 응용된다 질병이 발생, 발전, 변화하는 근본은 인체의 음양 실조에 그 원인이 있으므로 어떤 질병의 증상이 아무리 복잡하고 변화가 심할지라도 모두 음양으로 분석하고 감별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진찰을 잘하는 의사는 색을 살피고 맥을 짚어 보아 먼저 질병의 음양 속성을 분별한다고 하였습니다. 1. 색깔, 성음, 증상, 맥상의 음양 속성을 분석한다. 색깔의 음양을 변별하면 황적색은 양에 속하고, 청과 백과 흑색은 음에 속하며, 색깔이 선명한 것은 양에 속하고, 어두우면 음에 속합니다. 음성의 음양을 변별하면 목소리가 높고 강하며 크고 또렷하며 말을 많이 하면 양에 속하고, 목소리가 낮고 약하며 힘이 없고 말을 적게 하거나 목소리가 가라앉고 조용하면 음에 속합니다. 또한 호흡에 힘이 있고 소리가 높고 거칠면 양에 속하고.. 2023.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