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

기본개념(2) 및 음양제약 사물의 성질을 음양으로 구분하면 한랭한 것은 음이고 온열한 것은 양이며, 굳센 것은 양이고 부드러운 것은 음이며, 가볍고 맑은 것은 양이고 무겁고 탁한 것은 음입니다. 사물의 운동 형태를 음양으로 구분하면 동적인 것은 양이고 정적인 것은 음이며, 빠른 것은 양이고 느린 것은 음이며, 상승은 양이고 하강은 음이고, 나아감은 양이고 물러남은 음입니다. 동일한 범주와 동일한 단계에 있는 상대되는 사물을 음과 양으로 구분하면 태양은 양이고 달은 음이며, 물은 음이고 불은 양이며, 수컷은 양이고 암컷은 음이 됩니다. 화는 염열, 건조, 승발, 중등, 동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에 집중적으로 양의 속성을 반영하고, 수는 한랭, 습윤, 침강, 응집, 정적인 특징이 있으므로 비교적 음의 속성을 잘 반영합니다. 수와 화로써.. 2023. 4. 2.
음양오행(2) 및 기본개념 주역에서 우주에는 음과 야의 상반되는 두 가지 속성이 존재하고 있어서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보아 음과 양이 서로 작용하여 변화가 발생한다고 하였으며, 음과 양의 소장변화는 무궁무진하다고 보았습니다. 그러므로 역서는 옆에 두고 정독해야 할 책이며, 이것은 역이 말하는 도가 한순간도 멎지 않고 끊임없이 변동하기 때문이라고 하였습니다. 육효의 상하 위치가 끊임없이 바뀌고 강과 유는 서로 바뀔 수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불규칙한 듯하지만 역시 일정한 법칙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는 곧 우주의 모든 사물이 끊임없이 발전 변화하고 음양도 또한 끊임없이 소장 변화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64괘 배열 순서를 보면 건곤을 첫머리로 하여 천치가 있고 난 뒤에는 만물이 생겨났음을 설명하였고, 미제괘를 마지막으로 하여 사물의.. 2023. 3. 26.
음양오행(1) 음양오행은 음양과 오행의 합칭입니다. 음양과 오행은 모두 자연을 인식하고 자연현상을 해석하며 자연 규율을 탐구하는 방법론입니다. 음양론에서는 우주는 물론 모든 사물에 음과 양이 있으며, 음기와 양기의 운동 변화로 이루어진다고 보는데, 오행론에서는 모든 사물이 다섯 가지 성질의 운동 변화에 의해 조화가 이루어진다고 보는 개념입니다. 음양설과 오행설은 매우 일찍부터 형성되어 서주 시기에 성행하였는데, 이는 고대의 철학과 자연과학이 상당히 발전했음을 반영합니다. 주역, 좌전, 국어, 상서 등의 고전문헌에는 음양과 오행에 대한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전국시대의 추연이 먼저 음양소장과 오행상승을 혼합하여 오덕종시론 즉 수덕극화덕, 화덕극금덕 이라는 순롼혼과 숙명론을 제창하여 음양오행 학파를 창시하고 추오덕종.. 2023. 3. 19.
한의학의 특징 1) 정체관 한의학에서 인체가 하나의 유기적인 정체라고 함은 기, 혈, 진액, 장부, 경락 등 인체를 구성하는 각 조직기관이 구조상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생리 기능상 상호 견제, 협조, 작용하고 병리 변화상 서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인간은 자연계의 산물로서 자연계의 규율에 순응한다는 전제에서 능동적으로 자연의 법칙에 따라야만 자연계의 변화 속에서 인체가 정상적인 생리 활동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체관이란 인체 자체의 정체성과 인간과 자연의 정체성을 말합니다. 2) 인체는 하나의 유기적인 정체이다 인체는 장기와 조직, 기관으로 구성됩니다. 각 장기, 기관, 조직은 각기 다른 생리기능을 가지고 있으면서 맡은 직무를 수행하면서 상호 협조, 조정함으로써 조화를 이룹니다. 인체를 .. 2023. 3. 12.